본문 바로가기
보험

2024년 4대보험 요율과 최저임금 인상 (4대보험 계산기)

by Muchroom 2023. 9. 25.
반응형

오늘은 2024년 4대보험 요율과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로 인해 한 달 최저 근로 시간 209시간에 따른 주휴수당 및 4대보험 요율에 따른 실급여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최저 시급

2024년 최저 시급은 9,86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한 달 최대 근무 시간인 209시간은 곱해보면 9,860원X209시간=2,060,740원으로 2023년 대비 2.5% 상승했습니다.

 

근로 시간 209시간 주휴수당

근로기준법 제 50조(근로시간)에 의해,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근로기준법

하지만 저희는 최대 근무 시간을 209시간으로 알고있습니다. 이는 주휴일 유급을 처리되는 시간까지 포함되는 시간이므로 실 근무 시간은 최대 160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4대보험 요율

대한민국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라면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하는것이 4대보헙입니다. 매달 월급에서 일정 금액을 납부하고 있으며 각 보험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4대보험 요율
국민연금 급여에서 사업주 4.5% 근로자 4.5%
건강보험 급여에서 사업주 3.545% 근로자 3.545%
요양보험 건강보험료에서 12.81%
고용보험 급여에서 0.9%

위의 4대보험 요율 표를 바탕으로 각 보험마다 납부해야하는 금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대보험의 더 자세한 계산방법은 밑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4대보험 계산기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계산 방법

4대보험은 대한민국의 사회보험제도를 뜻합니다. 국가에서 국민들의 사회적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시행되는 제도로, 건강보험, 고용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강제성이

blogroadmap.tistory.com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사업주가 4,5%, 근로자가 4.5%를 납부해야 하고, 2,060,740원 기준 92,730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건강보험

건강보험은 사업주가 3.545%, 근로자가 3.545%를 납부해야 하고, 2,060,740원 기준 73,050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요양보험

요양보험은 건강보험료 기준 12.81%를 납부해야 합니다.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씩 납부하기 때문에 2,060,740원 기준 책정된 건강보험료 73,050원 기준 9,350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고용보험

고용보험은 근로자가 0.9%를 납부해야 하고, 2,060,740원 기준 18,540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위의 정보를 바탕으로 2,060,740원 기준 실급여는 1,867,070원이 된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